검색결과 리스트
칸민족문화유산 에 해당되는 글 7건
- 2009.01.22 고구려 석묘계 무덤들 : 3. 집안시 천추묘
- 2009.01.22 고구려 석묘계 무덤들 : 2. 집안시 태왕릉
- 2009.01.22 고구려 석묘계 무덤들 : 1. 집안시 장군총 1
집안시 소재한 천추묘입니다.
천추릉은 집안 현성에서 서쪽으로 3.5km 떨어진 마선하 언덕에 위치하며 그모양이 거대하여 구릉과도 같습니다.
1936년 무덤위에서 "천추만세"란 명문이 새겨진 벽돌이 나와기 때문에 천추묘라고 합니다.
천추무덤의 규모는 장군총 300평보다훨씬 넓다고 하는데 무덤은 심하게 파괴를 받아왔기 때문에 기단석이 많이 유실되고 네 귀만 조금 남아있을 뿐이라고 합니다.
무덤꼭대기는 비교적 평편하며 그 면적은 약 400평방미터이며, 지금 남아있는 흔적으로 보면 장군총과 태왕릉 건축양식과같습니다.
사진 1~3. 천추릉 원경
(이미지 출처 '물언덕'님 블로그 : http://blog.empas.com/pds2373/)
사진 4~7. 천추묘 근경
(이미지 출처 : 정석윤님 블로그 여행카테고리 여행사진항목 http://blog.daum.net/jsy3019/1996266 )
'칸민족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달국 홍산문화 우하량유적지 발굴현장 4 (0) | 2009.01.22 |
---|---|
배달국 홍산문화 우하량유적지 발굴현장 3 (0) | 2009.01.22 |
배달국 홍산문화 우하량유적지 발굴현장 2 (0) | 2009.01.22 |
고구려 석묘계 무덤들 : 2. 집안시 태왕릉 (0) | 2009.01.22 |
고구려 석묘계 무덤들 : 1. 집안시 장군총 (1) | 2009.01.22 |
집안시 소재 태왕릉에 대해서 이제 보고자 합니다.
사진 1-2. 태왕릉 초입(이미지 출처 '물언덕'님 블로그 : http://blog.empas.com/pds2373/)
태왕릉의 주인은 누구인지 명확히 밝혀지진 않았습니다.
광개토호태왕비문과 이 태왕릉의 인접한 위치로 보아 광개토호태왕릉이나 혹은 그의 선조 무덤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을 뿐입니다.
다만, '태왕'이란 명문이 새겨진 유물이 출토되어 학계의 공통된 견해는 고구려 태왕의 무덤이라는 것만은 인정하고 있습니다.
사진 3. 태왕릉에서 발견된 명문이 새겨진 전(塼,벽돌)
일부 훼손이전의 탁본 자료에 의한 새겨진 명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문] 願太王陵安如山固如岳
[풀이] 태왕릉(太王陵)이 산(山)처럼 편안하고 산악(岳)처럼 굳건하기를 바라노라.
명문이 새겨진 전(塼)에 관한 다른 사진도 있어 같이 올립니다.
이분은 아래 사항에 따라 사진을 활용하도록 하셨군요. (저작자명기, 상업용도금지)
이미지 출처 : http://bluehua.tistory.com/585 (ID: 블루후아)
사진 4. 태왕릉 발견된 명문이 새겨진 전(塼,벽돌)
1966년 차이나측이 통구하무덤군을 측량할때는 '우산묘역(禹山墓域) 제 541호묘'로 명명하였지만 위 명문이 새겨진전(塼)의 발견으로 모두 태왕릉(太王陵)이라 부릅니다.
이 우산(禹山)하 고분군은 이 일대에서 가장 고분군이 많이 밀집되어 있는곳으로 3,904기의 고분이 있으며 유명한 장군총도 이에 포함됩니다.
집안시 태왕릉 : 태왕릉 실측도와 태왕릉 고해상도 사진입니다.
사진 5. 태왕릉실측도
사진 6. 집안시 소재 태왕릉
< Reference >
각 사진의 출처는 모두 원저자의 것을 같이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현지의 태왕릉 전경 사진 출처는 아래 블로그입니다.
'칸민족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달국 홍산문화 우하량유적지 발굴현장 4 (0) | 2009.01.22 |
---|---|
배달국 홍산문화 우하량유적지 발굴현장 3 (0) | 2009.01.22 |
배달국 홍산문화 우하량유적지 발굴현장 2 (0) | 2009.01.22 |
고구려 석묘계 무덤들 : 3. 집안시 천추묘 (0) | 2009.01.22 |
고구려 석묘계 무덤들 : 1. 집안시 장군총 (1) | 2009.01.22 |
진조선이 그 통치기반이던 정치-종교체제가 약화되면서 번조선과 막조선의 열국들을 다스리지도 제어하지도 못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해체되면서 그 맥은 진조선강역에서 가장 강력했던 북부여로 이어졌고 다시 졸본부여와 고구려로 적통이 이어지게 됩니다.
진조선을 이은 열국중 가장 주류라 할 수 있는 고구려의 강역에 위치한 장묘도시였던 집안에는 수많은 무덤군들이 옛 역사의 자취를 간직한 유적으로 산재해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유적으로 남은 석묘계 무덤들을 한번 살펴보고자 합니다.
첫번째로, 차이나,일본등이 장군총이라 부르는 릉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아래, 사진들은 모두 다른 블로그 운영자께서 공개하신 사진으로 글 말미에 출처는 따로 밝혔으니 저작권은 그 분에게 있으니 상업적으로 사용하시면 안됨을 유념하시고 관심있는 분은 해당 블로그 운영자분에게 문의바랍니다.
가볼 수 없는 이들에게 사진으로나마 볼 수 있도록 공개해주신 분에게 글로나마 감사드립니다.
1.집안시 장군총
장군총 실측도
< Reference >
위 장군총 사진이미지의 출처는 아래의 블로그주소의 마법의 성이란 분입니다.
사진을 공개해주셔 거듭 감사드립니다.(실측도는 제외)
블로그대문의 글로 보아 직업이 관광업이신 분인가 봅니다. [http://www.startour.pe.kr]
엠파스가 문을 닫는다고 하여서 미리 참조로 밝힙니다.
'칸민족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달국 홍산문화 우하량유적지 발굴현장 4 (0) | 2009.01.22 |
---|---|
배달국 홍산문화 우하량유적지 발굴현장 3 (0) | 2009.01.22 |
배달국 홍산문화 우하량유적지 발굴현장 2 (0) | 2009.01.22 |
고구려 석묘계 무덤들 : 3. 집안시 천추묘 (0) | 2009.01.22 |
고구려 석묘계 무덤들 : 2. 집안시 태왕릉 (0) | 2009.01.22 |